오늘은 산악 지대의 동쪽으로 간 첫째 날이었고 유대 광야를 봤다.
산악지대의 동쪽은 1년에 비가 4인치 이하로 내리는 매우 건조한 지역인데, 이는 푄 현상 때문이다. 우리고 사해에 가까이 갔을 때, 광야는 끝나고 평지가 나왔다.
마침내 그 유명한 사해를 만났다.
사해가를 따라 갔는데, 대추 농장이 엄청 많았다.
성경에는 꿀이 엄청 많이 나오는데 문제는 이 지역에 꿀벌이 없고 그래서 꿀도 없다는 것이다. 이 지역에서 사람들은 과일로 꿀을 만드는데 그 중에 가장 흔한 것이 대추 꿀이다.
나는 코코넛같은 야자수라고 생각했는데, 현지 안내인은 대추 나무라고 한다. 오늘 오후에 여리고 갔을 때 대추를 하나 먹어봤는데, 정말 맛있었다. 내 평생 먹어본 대추 중에서 가장 맛있었다. 이유는 모르겠지만 이곳 이스라엘에서는 과일이나 야채가 정말 맛이 좋다.
엔게디에 도착을 했는데, 우리를 처음 반겨주는 것인 이 나무였다. 이 나무는 주주베라고 하는 가시나무의 일종인데 많은 사람들은 이 것과 같은 종류의 나무로 예수님의 가시 면류관을 만들었다고 믿고 있다 (이 나무가 아니라). 가시가 정말 날카롭고 깊었다.
엔게디 하이킹 코스에서 폭포를 총 세 개 봤는데, 그 중 첫번째 나오는 것으로 입구에 들어서면 바로 있는데 아랫 폭포라고 불린다. 엔게디가 얼마나 마르고 황막한 지역인지 사진을 보라.
폭포 옆에 있는 나무는 죽어 있었다. 사울 왕이 다윗을 죽이려고 좇아올 때, 다윗은 도망와서 이 곳 엔게디에 숨었다. 그리고 내가 오늘 본 것과 같거나 비슷한 장면을 봤을 테고 이 나무들에 자신의 투영했을 것이다. 시편에서 다윗은 노래하기를 “시냇가에 심기운 나무 같이”라고 했다. 지금 생각하니 그 것은 그저 멋있는 시적 표현인 것만은 아니었을 것이다. 오히려 본인에게는 생사의 문제였으리라. 두 나무 중 어떤 나무가 될 것인지 선택해야만 하는데, 상황은 절망적이었고, 분명히 생각하기를 푸른 나무 처럼 되는 가능성은 하나님께 붙어 있는 길 뿐이라고 말이다.
윗 사진을 보면, 물길이 있는 곳만 녹색이다. 다른 모든 곳은 마르고 죽어 있다.
여기가 종착지다. 바로 다윗 폭포. 이제 돌아가는 일만 남았다.
폴라 교수님은 맥코믹 신학교에서 성경 히브리어를 담당하시며, 테드 교수님의 아내다. 이 교수님도 역시 구약 학자시며, 하버드 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엔게디에는 많은 동굴들이 있는데, 이 중 하나에 다윗이 숨었을 것이다. 엔게디 다음에는 사해 문서가 발견된 쿰란으로 갔다.
이것들은 약 2천년동안 문서들을 보관했던 항아리들의 복제품이다.
쿰란은 사실 종교적인 남자 1000명이 모인 공동체였으며 누구나 가입할 수는 있지만 3년간의 인턴 기간이 있다. 그곳의 삶은 매우 엄격했으며, 위에 나온 사진은 조직 규율 문서다.
회원들의 일일 생활은 종교적인 일들로 가득 했는데, 여기에는 성경 필사가 포함된다. 위의 것이 서기관의 책상이다.
종교적 행사의 한가지는 종교적 목욕이었다. 종교적 목욕 자체는 이 조직만의 고유한 것은 아니지만 에세네파가 특히 심하게 강조를 했다. 마실 물도 부족한 마당에 종교적 목욕탕이 여러 개 있었다. 위 사진은 실제 고고학 발굴로 드러낸 종교적 목욕탕이다.
이 것은 쿰란 4번 동굴인데 되게 중요한 동굴이라고 한다. 새로운 문서를 더 발견한다는 것이 불가능 한 것은 아니겠지만 이미 샅샅히 뒤졌기 때문에 가망은 없다. 쿰란에서는 한국인 단체 관광객이 엄청 많았는데, “내가 앉으라고 했지”라고 인도자가 소리지르는 것을 들었다. 여기 현지인 말로는 이스라엘에서 유대인보다 한국인을 더 많이 본다고… 매장에서 유창한 한국어로 흥정하는 팔레스타인 아저씨도 봤다. 그리고 여리고에서는 한글 플랭카드도 봤다. 점심을 쿰란에서 먹었다.
점심 먹은 후에는 사해의 칼리아 해변에 갔다. 폴라와 테드 교수님은 예전에 이스라엘에서 1년을 살았는데, 지금 다시 와서 보니 사해의 수위가 확 낮아진 것이 눈에 띤다고 한다. 현지 안내인도 사해가 죽어간다고 했다. 어딜 가든지 현지인들이 자연은 죽어 간다고 한다. 캐나다 록키 산맥의 빙하에 갔을 때에도 안내인이 빙하가 죽어 간다고 했다. 이러다가 한 두 세대 이후에는 가이드들이 “여기가 예전엔 물이 있어서 사해라고 불렸대요” 라던가 “예전에 여기에 빙하가 있었다는군요” 이런 말을 할까봐 걱정된다.
진흙이 완전 찐득찐득해서 계속 신발이 벗겨지려고 했다. 짠 맛을 기대하고 물 맛을 봤는데, 극심한 쓴 맛을 봤다. 약 7-8초 가량 지나자 짠 맛이 느껴지기 시작했다. 맛을 보면서 여리고에서 행한 엘리사의 기적을 생각했다. 사람들이 물 맛이 쓰다고 했는데, 어쩌면 이는 땅 속으로 사해와 연결이 되었기 때문은 아닌가 싶었다. 그런데 엘리사는 소금을 더 넣었다. 물이 소금이 너무 많아서 쓴데, 거기다가 소금을 더 쳐넣은 것이다. 이건 말도 안되는 미친 짓이다. 하지만 기적이 일어났다. 이와 같이 하나님의 길은, 기독교인의 길은 세상 사람의 눈에는 말도 안되는 미친 짓으로 보일 것이다. 하지만 하나님께서 도와주신다면 기적은 일어날 것이다.
사실은 신문이나 잡지를 들고 있는 사진을 찍고 싶었는데, 신문이 없었다. 내 옆에 있던 한 흑인 여자는 수영을 못한다면 안 들어 가길래 그냥 뜬다고 말해줬다. 사실 누군가 물 속에서 막 밀어주는 것 같았다.
사해는 약 해발 고도로 따져서 바다 속으로 430 아래다. 그리고 매우 덥다. 그래서 거의 여름 비슷한 날씨를 즐겼다. 사해는 고농도의 소금과 각종 미네랄을 포함하고 있는데, 여성용 피부 미용으로 사해 진흙을 판다. 나도 수영하고 나오니 피부가 좋아진 것 같다.
우리는 오늘의 마지막 목적지인 여리고로 갔다. 이 나무에서 예수님이 삭개오더러 내려오라고 하셨다고 한다. 모든 사람들이 예수님을 만나고 부르심을 받앗으면 좋겠다.
우리는 매우 중요한 고고학 발굴터에 갔는데, 왠지 공작이 매우 많았다. 공작을 보니 하와이 신혼여행이 생각난다.
그리고 드디어 낙타를 봤다. 보통 이스라엘 하면 낙타가 함께 그려지는데, 오늘 처음 봤다. 그리고 이 낙타도 교통수단이 아니라 재미로 타는 것 같다.
뒤에 보이는 산이 40일 산이라고 하는데, 시험 산이라고도 부른다. 예수님이 저 산에서 40일 금식을 하시고 시험을 받으셨다고 한다.
이 것은 기원전 5,000년의 것으로 결국 7,000년 전의 것이다.
이 것은 세월의 겹으로 검은 층은 화재를 의미한다.
이 탑은 기원전 10,000년 전에 지어졌다고 하는데 결국 12,000년이 된다. 그리고 이 것이 인류사에서 가장 최초의 건축물이라고 한다. 사실 여리고 자체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다.
이 것은 기원전 1,900년의 요새와 성벽으로 고대 여리고에서 진흙 벽돌로 지어졌다. 사진을 보면 진흙 벽돌이 보인다. 현재까지 고고학자들은 여호수아가 무너트린 성벽은 발견하지 못하고 있다. 어떤 학자는 이스라엘 백성이 실제로 와서 함락한 것이 아니라고 하고, 다른 학자들은 실제로 일어난 일이지만 우리가 발굴하지 못한 것 뿐이라고 말을 한다.